데스크톱 물청소 해도 될까? (물청소 안된다 vs 물청소 된다)

컴퓨터는 하루 종일 작동하면서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그 과정에서 먼지가 내부에 점점 쌓이게 되는데요, 이 먼지가 쌓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깁니다.



가득한 먼지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

  • CPU나 그래픽카드 발열 증가
  • 팬 소음 증가
  • 부품 수명 단축
  • 속도 저하, 갑작스러운 종료 현상
# 그래서 주기적인 청소는 필수입니다.
그런데... ‘물로 닦아도 될까?’라는 궁금증이 생기실 겁니다.


데스크탑을 물청소하면 안 되는 이유

간단히 말해, 전자제품에 물은 금물입니다. 그 이유는?
  • 전류 전달 → 쇼트 발생
  • 부식 위험 (물 속에 미세한 금속이나 미네랄이 존재할 수 있음)
  • 고장의 지름길
# 즉, 물청소는 절대 비추입니다.



안전하게 데스크톱 청소하는 법 (초보자용 가이드)

1. 준비물

  • 압축공기 스프레이
  • 정전기 방지 장갑
  • 부드러운 붓 or 화장용 브러시
  • 극세사 천
  • (선택) 에탄올(무수알코올) or 전자기기 전용 클리너

2. 사전 준비

  1. 컴퓨터 전원 OFF
  2. 전원 플러그 및 모든 연결선 완전히 분리
  3. 가능하면 방 밖에서 청소 (먼지 날림 방지)



3. 본격적인 청소

내부 먼지 제거

  • 압축공기로 팬, 히트싱크, 파워서플라이 내부 바람 불어주기
  • 브러시로 먼지 살살 털어냄 (메인보드, 램 주변 주의)

외부 표면 닦기

  • 극세사 천을 살짝 물 적신 뒤 꼭 짠 상태로 표면만 닦기
  • 포트나 버튼 주변은 면봉이나 붓 사용

키보드 & 마우스

  • 분리해서 따로 청소 (물티슈 → 말리기 or 에탄올 사용)



물청소는 언제 가능할까?

유일하게 물청소가 가능한 경우는 PC 케이스만 따로 분리했을 때입니다.

  • 케이스 철제 프레임, 플라스틱 커버 분리
  • 전자 부품 완전히 제거 및 전면 포트 및 케이블 분리)
  • 깨끗한 물로 씻고, 완전히 말린 경우 (최소 24~48시간 이상)


정리 - 데스크탑 청소는 ‘물 없이’가 원칙!

잘못된 청소법

  • 물티슈로 내부 닦기
  • 분무기로 뿌리기
  • 물에 적신 천으로 메인보드 닦기

안전한 청소법

  • 압축공기와 브러시 사용
  • 극세사 천으로 표면만 닦기
  • 에탄올이나 전용 클리너 사용

결론

  • 정전기나 쇼트, 부식 등 고장 위험 요소가 너무 많기 때문에 물청소는 금물.
  • 정기적인 청소는 PC의 수명을 연장하고 성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Etc. PC 파워 서플라이 물 세척(청소)

본 단락에서는 사용하거나 켜지는 데는 지장은 없지만 안전을 위해 먼지가 가득한 저사양의 컴퓨터에서 추출한 두 종류의 파워 서플라이를 가능한 한 빠른 시간에 세척 후 말리고, 작동까지 물청소가 되는지 해봤습니다.



먼지 가득한 파워서플라이를 분해



사진상 잘 보이진 않지만 각 소자 및 틈새에 먼지가 많습니다.



먼지 가득한 파워서플라이 쿨링팬 1



먼지 가득한 파워서플라이 쿨링팬 2



강한 물살로 겉 먼지들을 1차적으로 제거



가급적 맹물을 사용하지만 소량의 주방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해봤습니다.



가는 붓으로 최대한 시간을 적게 잡고 먼지들을 털어냅니다. 아주 세세하게 청소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쿨링팬도 깨끗해 졌습니다. 팬 모터 안쪽은 말릴 때에도 신경써가며 말리는게 중요합니다.



1차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각 부품들을 몇 시간 동안 방향을 바꿔가며 충분히 말려줍니다.



마지막으로 조립 후 팬이 잘 돌아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결론

물청소가 안되는건 아니다!
만약 물청소가 해보고 싶으신 분은 다음을 꼭 지키셔야 합니다.


  • 가급적 빠른 시간안에 진행한다. (부식 방지, 물에 담궈두는 것은 절대 금물)
  • 수돗물을 사용한다. (세제를 사용할 경우 매우 소량만 사용)
  • 에어 콤퓨레샤, 드라이기 등으로 최대한 물기를 털어내고 말린다.
  • 잔 물기를 말릴 때에는 바람이 잘 통하는 곳이나 선풍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며, 안전을 위해 부품들을 바로 사용하기 보단 10~24시간 이후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 물기를 아무리 잘 털어내도 틈이 좁은 부품 사이나 연결 단자 커넥터 사이에 남아 있기 때문에 성급하게 전원을 연결해 작동 유무를 확인해서는 안 됩니다. 되던 부품도 한 번에 고물이 될 수 있습니다.

👏 다른 부품(그래픽 카드, 쿨링팬, 메인보드) 역시 물청소가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청소 후 작동 여부는 사용자에게 책임이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