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토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마사토를 사용하지 말하야 할 가장 큰 이유는 뿌리내림을 하지 못합니다 . 얼마전 5~6 년 이상 한 화분에서 키우던 ‘ 소인제 ’ 를 분갈이를 했습니다 . 물론 마사토 비율이 7~80% 로 심어져 있었죠 . 시들거리면 가끔 물을 주는데 그래도 곧잘 잎장이 통통해졌기에 별 문제가 없는 줄 알았습니다 . 분갈이를 하면서 뿌리를 살펴봤는데 뿌리가 아얘 없다 싶을 정도로 겨우 생명 유지만 하는 상태였습니다 . 이 상태로 어떻게 살았는지 물은 어떻게 먹고 있었는지 의아할 정도였습니다 . 지난번 마사토를 버려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 식물 분갈이 흙의 중요성과 마사토를 버린 이유 👈 포스팅 링크 마사토는 뿌리내림에 악영향 마사토는 배수 능력이 좋기는 하나 식물에 적용시키거나 그 양이 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뿌리 보습에 취약하고 특히 마사토의 무게가 뿌리 활착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에 확실함을 느꼈습니다 . 뿌리가 내리려면 흙을 파고들어야 되고 , 뿌리가 파고든 틈으로 인해 흙은 당연히 위나 아래로 이동을 해야 하지만 잔뿌리들이 마사토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파고들지 못해 그 자리에 머물다 성장을 멈추거나 죽게 됩니다 . 식물의 상부는 상처나 가지를 쳐내도 잘 살지만 뿌리가 썩거나 활착 하지 못하고 부패나 오염이 된다면 식물 전체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 뿌리가 살지 못하니 잎과 줄기도 연약해지고 번식 없이 외두로만 살아가고 있었네요 . 그만큼 식물은 상부보다 하부 관리가 중요합니다 . 마사토는 화분 속 흙 배합이나 배수층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