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 설정으로 CPU 내장그래픽 활성화와 다중 모니터 설정 방법
외장 그래픽 카드가 있음에도 듀얼(다중 모니터) 모니터를 사용하기 위한 내장
그래픽 카드 활성화 설정 방법 및 BIOS 설정, 다중 모니터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CPU 내장 그래픽을 사용은 왜 할까?
✓ 하나의 컴퓨터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때, 고사양 프로그램은 외장 그래픽 카드(GPU)로, 비교적 가벼운 작업은 내장 그래픽 카드(iGPU)로 처리하면 성능 과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외장 그래픽 카드 포트가 부족하거나, 모니터를 2대 이상 연결하고자 할
때도 내장 그래픽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특히 구형 모니터를 재활용하거나 외장 GPU 슬롯에 문제가 있을 경우
비상대책으로 내장 그래픽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사용 중인 CPU가 반드시 내장 그래픽을 지원하는 모델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 i7-9700F (F는 내장 그래픽 미지원을 뜻함), Ryzen 일부 모델은 내장
그래픽 없음.
BIOS에서 내장 그래픽 활성화 방법
✓ 내장 그래픽을 사용하려면 먼저 BIOS(바이오스)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1. BIOS 진입 방법
✓ 컴퓨터를 켜자마자 `Del` 또는 `F2` 키를 반복해서 누릅니다.
※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으니 부팅 시 표시되는 키를 확인하세요.
2. 내장 그래픽 활성화 BIOS 설정 (제조사에 따라 다름)
설정 예시 1 (ASUS, Gigabyte 등)
- 메뉴 : `Advanced` → `Chipset Configuration` → `Graphics Configuration` → `Internal Graphics`
- 기본값 : [Auto] → 변경 : [Enabled]
- 저장 후 재부팅 : `F10` → Enter
설정 예시 2 (MSI 등)
- 메뉴 : `Advanced` → `Graphics` → `IGD MultiMonitor`
- 기본값 : [Disabled] → 변경 : [Enabled]
- 저장 후 재부팅: `F10` → Enter
※ 설정 항목 이름은 메인보드 제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바이오스 설정에서
"Internal Graphics", "IGD", "Multi Monitor" 등의 키워드를 참고하세요.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방법
✓ BIOS 설정을 마친 후에는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1. 현재 설치된 그래픽 드라이버 확인
✓ 내 PC(컴퓨터) → 마우스 우클릭 → 관리 → 장치 관리자 → 디스플레이
어댑터
예시>
- Intel(R) HD Graphics = 내장 그래픽
- NVIDIA GeForce GTX = 외장 그래픽 카드
2.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 다운로드 방법
✓ [3DP Chip]은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을 검색하여 설치&다운로드 가능한
유틸리티 목록을 보여주는 유용한 유틸리티 프로그램 입니다.
[3DP Chip 공식 사이트]
[3DP Chip 공식 사이트]
- 3DP Chip 다운로드 및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1.] [그래픽 카드] 항목 옆 `+` 클릭
- [2.] 우측 목록에서 내장 그래픽 항목 선택
- [3.] 링크 클릭 → 새 창에서 드라이버 다운로드 → 설치
※ 설치한 드라이버에 따라 재부팅 필요
다중 모니터 설정 방법 (Windows 기준)
✓ 내장 그래픽을 활성화하고 모니터를 연결했지만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면
다음 단계를 확인하세요.
다중 디스플레이 설정 확인
- 바탕화면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또는 화면 해상도)
- 다중 디스플레이 옵션 → 이 디스플레이 확장 선택
- 각 모니터 위치/순서 조정 (모니터 그림을 드래그)
※ 모니터가 3대 이상인 경우, 연결 포트와 전력 소비량에 따라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원과 포트를 재확인하세요.
모니터 연결 단자 종류 설명
이미지 출처 : 삼성전자서비스DVI-D 포트
-
디지털 영상 신호만 지원하는 DVI 포트의 한 종류입니다. 24개의 핀이
배열되어 있으며, 흰색이 주로 사용됩니다.
-
용도 : 고해상도 디지털 영상 전송에 적합하며, HDMI와 유사한 신호를
제공합니다.
- 디지털 영상 신호만 지원하는 DVI 포트의 한 종류입니다. 24개의 핀이 배열되어 있으며, 흰색이 주로 사용됩니다.
- 용도 : 고해상도 디지털 영상 전송에 적합하며, HDMI와 유사한 신호를 제공합니다.
D-sub 포트 (VGA, RGB 포트)
- 15개의 핀으로 구성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포트로, 주로 구형 모니터나 프로젝터에 사용됩니다. 파란색이 일반적입니다.
- 용도 :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 적합하며, 고해상도 디지털 화면에서는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DMI 포트
-
오디오와 비디오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슬림한 직사각형 형태의
디지털 포트입니다.
-
용도 : TV, 모니터, 게임 콘솔 등 다양한 장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오디오와 비디오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슬림한 직사각형 형태의 디지털 포트입니다.
- 용도 : TV, 모니터, 게임 콘솔 등 다양한 장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DP 포트 (DisplayPort)
- 고해상도 디지털 신호와 오디오 전송을 지원하는 포트로, 한쪽이 비스듬하게 깎인 직사각형 형태입니다.
- 용도 : 고급 디스플레이 장비 및 다중 모니터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마무리 및 요약
- CPU가 내장 그래픽을 지원하는지 확인
- BIOS에서 내장 그래픽 활성화
-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 다중 모니터 설정으로 화면 확장
- 다양한 포트 활용으로 모니터 구성 최적화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