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 카메라 YASHICA FX-D QUARTZ 사양 및 바디 스킨 패턴, 수리 매뉴얼

이미지
YASHICA FX-D QUARTZ는 클래식 필름 카메라 애호가들 사이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수동 SLR 카메라입니다. ‘Contax 139 Quartz’의 보급형 모델로 잘 알려져 있으며, 깔끔한 디자인과 안정적인 조작감으로 많은 사용자에게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YASHICA FX-D QUARTZ의 기본 사양과 함께, 오래된 카메라의 가죽 커버를 리폼할 수 있도록 바디 커버 스킨 패턴 파일도 함께 제공합니다. YASHICA FX-D QUARTZ의 특징 카메라 기본 정보 항목 내용 형식 35mm 수동 SLR (조리개 우선 자동 노출) 이미지 크기 24 x 36mm 렌즈 마운트 CONTAX / YASHICA 베요넷 마운트 셔터 전자식 수직 금속 포컬 플레인 셔터 셔터 속도 자동: 1초 ~ 1/...

필름 카메라 미놀타 X-300 기본 사양 및 설명서 다운로드

이미지
미놀타 X-300(Minolta X-300)은 1981년 출시된 조리개 우선 자동 노출(AE) 기능이 탑재된 35mm 필름 SLR 카메라입니다. 미놀타 X-700의 기능을 일부 축소하여 만든 보급형 모델로, 국내에서는 삼성이 수입•판매하였습니다. 주요 사양 (Specification) 항목 설명 카메라 형식 전자 제어식 35mm 포컬 플레인 셔터식 일안 리플렉스 (SLR) 사용 필름 35mm 필름 촬영 방식 조리개 우선 자동노출 (AUTO), 완전 수동노출 (M) 화면 크기 24mm x 36mm 렌즈 마운트 미놀타 MD 베이어닛 마운트 표준 렌즈 MD 50mm f/1.4 초점 스크린 중앙부: 스플리트 마이크로 프리즘 / 주변부: 애큐트 매트 파인더 시야율 95% (50mm 렌즈 기준) ...

가장 잘 나가는 3.5인치 외장하드, WD vs Seagate? 용량별 추천

이미지
고화질 영화, 수많은 사진, 중요한 업무 파일까지. 쌓여가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려면 외장하드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특히 데스크톱 사용이 많거나 대용량 백업이 필요한 분들에게는 3.5인치 외장하드가 좋은 선택이죠. 그렇다면 과연 어떤 제품을 사야 할까요? 오늘은 가장 인기 있는 외장하드 제조사인 “WD(Western Digital)”와 “Seagate”의 대표 제품을 비교하고, 용도에 맞는 용량별 추천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WD 외장하드: 안정성과 디자인을 중요시한다면 WD는 오랜 시간 축적된 기술력으로 데이터 안정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특히 세련된 디자인으로 데스크톱 주변 환경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추천 제품: WD My Book 특징: 책처럼 세워둘 수 있는 디자인으로 공간 활용도가 뛰어납니다. WD 자체 백업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중요한 파일을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요 용량: 4TB, 8TB, 12TB 등 다양한 용량으로 출시되어 있으며, 특히 4TB와 8TB 모델이 가성비가 좋아 많이 팔리고 있습니다. WD Blue HDD 4TB WD Blue HDD 8TB WD New 마이북 8.9cm 외장하드 14TB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Seagate 외장하드: 가성비와 호환성을 중요시한다면 Seagate는 HDD 시장의 또 다른 강자로, 특히 가격 대비 용량이 넉넉한 가성비 제품으로 유명합니다....

필름 카메라 Canon AE-1, AE-1 Program, A-1 각 모델의 장단점 및 매뉴얼, 호환 렌즈

이미지
Canon AE-1, AE-1 Program, A-1 필름 카메라는 입문자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모델이면서 일본 영화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 여주인공이 사용하면서 필름 카메라가 붐이던 때, AE-1 카메라를 많이 찾기도 했습니다. 1. Canon AE-1 출시년도: 1976년 세계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 SLR 노출 모드: 셔터 우선 자동 노출 (Shutter Priority AE) + 수동 모드셔터 속도: 2초 ~ 1/1000초, Bulb 장점: 사용하기 쉬워 초보자에게 적합 가격 대비 성능 우수 단점: 셔터 우선만 가능 (조리개 우선이나 프로그램 AE 없음) Canon AE-1 service manual 다운로드 👈 2. Canon AE-1 Program 출시년도: 1981년 AE-1의 후속 모델 노출 모드: 프로그램 자동 노출 (Program AE) + 셔터 우선 + 수동 셔터 속도: 2초 ~ 1/1000초, Bulb 장점: 완전 자동(Program AE) 촬영 가능 AE-1보다 편의성 향상 단점: ...

폐기 대상 의약품(알약,가루약,캡슐약,물약,연고)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과 이유

이미지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나 복용하지 않고 남은 약을 어떻게 처리하고 계신가요? 단순히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리면 지하수, 토양, 하천 오염 은 물론, 생태계 파괴와 항생제 내성균 확산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과 주의사항 을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폐의약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사용하지 않고 남은 알약, 가루약, 물약 등은 그대로 버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지하수 및 하천 오염 야생 동물과 곤충 피해 생태계 교란 항생제 내성균 확산 따라서, 폐기 대상 의약품은 반드시 정해진 절차에 따라 배출 해야 합니다. 1. 폐의약품 수거함 이용하기 수거함 위치 지역 구청, 보건소, 주민센터, 복지관 등에 설치 서울 지역은 [스마트서울맵] 👈을 통해 위치 확인 가능 배출 방법 약품 종류 배출 방법 알약 포장을 제거한 후 내용물만 봉투에 담아 배출 가루약 개봉되지 않은 포장 그대로 배출 캡슐약 포장된 상태 그대로 배출 물약(시럽) 한 병에 모아 마개를 밀봉한 후 배출 연고 포장 박스 제거 후 용기째 밀봉해 배출 ...

헌혈에 대한 5가지 오해와 진실, 그리고 헌혈의 장점 4가지

이미지
매년 6월 14일 은 ‘세계 헌혈자의 날’(World Blood Donor Day)입니다. 이 날은 ABO식 혈액형을 발견한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 박사 의 생일(1868년 6월 14일)을 기념해 제정된 국제 기념일 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 ,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 국 제수혈학회(ISBT) , 국제헌혈자조직연맹(FIODS) 등 보건 관련 주요 국제기구들이 헌혈자에게 감사와 존경을 전하기 위해 만든 날 이며, 우리나라도 2021년 12월 혈액관리법 개정 을 통해 국가기념일 로 지정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헌혈에 대한 오해 로 인해 기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에서 헌혈 관련 속설 5가지의 진실과, 헌혈이 주는 건강 효과 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헌혈에 대한 오해와 진실 오해 1. 헌혈은 건강에 해롭다 사실: 혈액은 매일 새로 생성 되며, 건강한 성인의 경우 헌혈 후 적절한 영양 섭취와 휴식으로 빠르게 회복 할 수 있습니다. 남성 : 체중의 약 8%, 여성: 체중의 약 7%가 혈액 이 중 15% 는 여유분 으로 보유 체중 60kg 남성: 약 4,800mL 체중 50kg 여성: 약 4,000mL 오해 2. 헌혈을 하면 감염병에 걸릴 수 있다 사실: 모든 채혈 장비는 1회용 무균 처리 되어 사용 후 바로 폐기되므로, 에이즈•간염 등 감염병에 걸릴 위험은 전혀 없음. 오해 3. 헌혈을 많이 하면 빈혈에 걸린다 사실: 헌혈 전 혈색소 수치(헤모글로빈) 측정을 통해 빈혈 여부를 먼저 검사 합니다. 또한 전혈 헌혈은 연간 5회로 제한 되어 있어 무리하지 않도록 제도적으로 관리됩니다. ...

외장/서브 하드 디스크(HDD/SSD) 또는 윈도우 설치 중 인식 안 될 때 해결 방법

이미지
하드 디스크를 추가하거나 Windows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디스크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아 답답하셨죠? 특히 외장(서브) 하드 디스크(HDD/SSD)를 연결했을 때 '디스크 관리' 에는 보이는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목록에는 나타나지 않는 경우, 또는 Windows 설치 과정에서 디스크를 선택할 수 없을 때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바로 파티션 형식(MBR/GPT)의 충돌 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특히 GPT 형식을 MBR 형식으로 변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한 방법 을 다룹니다. 반대로 MBR을 GPT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인 절차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 디스크 연결이 안 되는 주요 원인 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잘못 연결된 케이블 또는 케이블 손상: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손상된 부분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하드 디스크 자체의 손상: 물리적인 손상이나 불량으로 인해 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드 디스크 파티션 형식(MBR / GPT) 문제: 오늘 우리가 중점적으로 다룰 부분입니다. 운영체제의 부팅 방식(BIOS/UEFI)과 디스크의 파티션 형식이 맞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기타 소프트웨어 또는 드라이버 문제: 드물지만, 시스템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 충돌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내 하드 디스크 파티션 형식 확인 방법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현재 사용 중인 디스크의 파티션 형식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 PC...